2025/09/06 2

말소기준권리와 대항력이란?

1. 말소기준권리란?뜻: 경매가 끝난 뒤에 “어디까지 권리를 지워야 하는지” 기준이 되는 권리예요.쉽게 말해, 건물에 붙어 있는 “스티커”들을 차례대로 붙였다고 생각해봐요.경매로 집이 팔리면, 말소기준권리 이전에 붙은 스티커들은 다 지워져요.하지만 그 이후에 붙은 스티커는 남아 있을 수 있어요.사례A가 집 주인이고, 은행에서 돈을 빌리면서 근저당권을 2020년에 설정했어요.그 뒤에 B라는 세입자가 2021년에 들어와서 전세 살아요.또 다른 은행이 2022년에 또 근저당권을 잡아요.👉 경매가 진행되면 2020년에 잡은 근저당권이 말소기준권리가 돼요.2020년보다 늦게 생긴 권리(2021년 세입자, 2022년 은행 권리)는 경매로 사라져요.하지만 2020년보다 앞서 있던 권리가 있다면(예: 2019년에 이..

경매 2025.09.06

7일차

1. 말소기준권리 밑으로 안녕(가장빠른애 이후 다 소멸) 2. 말소기준권리+담보가등기 외 특정조건(배당요구해야 말소기준권리) 3. 말소기준권리 위에 있는건 인수 4. 매각물건명세서의 실수는 모두 법원에서 책임진다 5. 임차인 보증금- 대항력(주인이 바뀌든 뭐든 임대차 계약기간동안 보증금을 받고 나간다!)- 우선변제권- 임차권등기 6. 대항력의 요건계약 전입 점유+ 전입일이 말소기준권리보다 앞서야 한다

경매/과제 2025.09.06